달리는 국제 시장, 국내 시장은 여전히 걸음마
상태바
달리는 국제 시장, 국내 시장은 여전히 걸음마
  • 정환용 기자
  • 승인 2018.01.03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핵심 기술 세계 시장 현황 ②

[CCTV뉴스=정환용 기자] 전에는 없었던 개념을 도입해 새로운 기능을 가진 장치를 만든다면, 이는 제작자가 핵심 기술(Core Technology)을 보유하게 된다. 자전거를 예로 들면, 자전거를 발명한 사람은 ‘두 개의 바퀴를 연결해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핸들로 조향하는 장치’에 대한 원천기술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프레임이나 안장, 킥스탠드 등은 부수적인 장치로 비핵심기술(Non-core Technology)에 속한다.

더 나은 경험을 만들어주는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산업을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향상시켜주는 사물인터넷, 정보를 더 가치 있게 만들어주는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인간을 더 안전하고 편안하게 도와줄 자율주행, 그리고 인간과 기계를 더 가깝게 만들어 줄 인공지능까지. 이것을 꿈에서 현실로 끌어내기 위해선 앞만 보기보다 뒤를 한 번 돌아보는 것도 필요하다. 앞으로 나아갈 원동력이 어디서 나오는지, 그 원동력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야 나아갈 방향도 더 명확히 정할 수 있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마음으로 기술의 근원인 핵심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스마트폰 하나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부품은 1000개가 넘는다. 사람의 손으로 직접 만드는 부품은 없고, 액정 디스플레이부터 핵심 프로세서까지 모든 부품은 기계가 만든다. 그리고 부품을 만드는 기계 역시 ‘마더 머신’이라 부르는 공작기계가 만든다. 스마트폰의 핵심인 AP를 만드는 모든 과정에서 기계의 도움을 받는데, 프로세서를 만드는 것과 함께 공작기계를 만드는 것도 IT 산업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다.

소비자용 PC 시장을 보면 국내 산업의 진행 방향을 알 수 있다. 데스크톱 PC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는 CPU, 메인보드, RAM, 저장장치, 그래픽카드, 파워서플라이, 케이스 등이다. 이 중 국내 업체가 자체 생산하는 항목은 RAM(삼성전자, 하이닉스), 저장장치(HDD는 전무, SSD는 다수), 파워서플라이, 케이스 정도다. 정작 PC 동작에 중요한 요소인 프로세서나 메인보드는 제조하는 기업이 없다. 대부분은 경쟁력과 경제성을 이유로 꼽는데, 기술력을 얘기하는 것은 꺼린다.

원천기술의 부족으로 벌어지는 이런 현상은 대부분의 ICT 산업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지원하는 IT 산업 연구개발 예산은 지난 10년간 2배가 늘었고, 2016년 투자금액은 20조 원에 육박한다. ‘IT 산업을 육성하겠다’, ‘소프트웨어 인력에 집중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은 매년 들려오는데, 들리기만 하고 보이지는 않는다. 국가의 R&D 경쟁력이나 IT 산업 경쟁력 순위는 점점 떨어지고 있다. 투자 대비 성과 역시 미미하다. 혹자는 정부의 R&D 지원금을 ‘눈 먼 돈’이라 칭하기도 한다.

처음부터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것만큼이나, 완성된 솔루션을 제대로 활용할 방법을 찾는 것 또한 개발자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다. 우리나라처럼 기초자원이 부족한 국가에서 모든 산업에 A to Z를 영위하는 건 불가능하다. 평소에 별 생각 없이 당연하듯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면, 수많은 핵심 기술들이 적용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기술의 집약체란 걸 알 수 있다. 이미 시장을 선도하며 달리고 있는 분야를 걸음마부터 시작해 따라잡기보다는, 그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볼 수 있다.

핵심기술, 시장을 이끌어가는 리딩 테크
지난 2015년 교량, 환경, 신재생에너지 분야 기업 에스코알티에스(ESCO RTS)가 새로운 제조기술을 적용한 도시형 풍력발전시스템 관련 기술의 사업화 보고서를 미래창조과학부에 제출했다. 이 기술의 최종 목표는 복합소재로 만든 나선형 블레이드를 적용한 도시형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이 계획에서 업체가 내세운 핵심 기술은 ▲나선형 블레이드를 적용한 고효율, 저소음 소형풍력 발전시스템 개발과 제작 기술, 그리고 이 블레이드를 만들기 위한 ▲유리섬유와 탄소섬유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복합체 나선형 블레이드의 개발과 제작 기술 등 2가지다.

여기서 핵심기술의 가치가 정해진다. 어떤 나라나 기업도 이 기술에 관심이 없다면 그뿐이지만, 풍력발전을 필요로 하는 국가와 기업에서 이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활용하기를 원한다면 어떨까. 이 기업은 개런티를 받고 타국, 타 기업에 기술을 판매하는 핵심 기술 보유 기업이 된다. 해당 보고서의 작성자도 국내 시장 현황을 분석하면서 신재생에너지 기술 인증을 받기 어려운 이유로 ‘소형 풍력발전시스템에 대한 원천기술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현재 풍력발전 분야는 덴마크의 베스타스(Vestas Wind Systems)가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쟁업체인 GE에 1위 자리를 내주기도 했지만, 이내 1위 자리를 탈환했고, 2016년에는 연매출 102억 유로를 기록하며 현재까지 정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 풍력발전소의 절반이 넘는 곳에서 베스타스의 풍력 발전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굳이 ICT 분야가 아니더라도 이런 핵심 기술에 대한 국내 산업계의 인식은 높지 않다. 유명한 일화 중 하나인 청양고추는 원래 국내에서 개발돼 재배되던 작물이지만, 해외의 종자 기업에 팔린 뒤로 로열티를 내며 중국에서 가져오는 처지가 됐다.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상생하지 않고 기술만 빼가는 양상이 국가적으로도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기술 개발은 고사하고 개발된 기술조차 지켜내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국내 기업들은 기술의 개발보다 활용에만 신경을 쓸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전체 기사를 보시려면 로그인 필요

로그인 또는 회원가입을 해주세요. (회원만 열람가능)

로그인 회원가입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